항산화와 항산화제, 왜 중요한가?
우리가 살아가는 모든 순간, 몸속에서는 작은 불꽃이 튀고 있습니다. 세포가 에너지를 만들 때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활성산소종(ROS, Reactive Oxygen Species)이 그 주인공입니다. 적당한 양의 ROS는 면역 방어, 세포 신호전달에 꼭 필요하지만, 과도하게 쌓이면 세포 단백질과 DNA, 세포막까지 손상시키며 노화와 질병의 불씨가 됩니다. 흔히 말하는 산화 스트레스(oxidative stress)가 바로 이런 상태입니다.

“철이 녹슬듯 우리 몸도 산화된다”라는 비유는 과장이 아닙니다. 실제로 피부 주름, 기미, 심혈관질환, 당뇨, 심지어 암까지 산화 스트레스와 깊은 관련이 있다는 연구들이 지난 수십 년간 쌓여왔습니다. 그래서 현대 의학과 영양학은 ‘항산화’를 노화와 질병을 막는 중요한 축으로 다루기 시작했습니다.
항산화 연구의 역사 한 장면
항산화라는 개념은 사실 꽤 오래전부터 존재했습니다. 1950~60년대에는 비타민 C와 E가 세포 손상을 줄인다는 초기 연구가 발표되었고, 1970년대에는 프리래디컬(free radical) 이론이 노화 연구의 큰 패러다임이 되었습니다. 이후 글루타치온 같은 내인성 항산화제, 폴리페놀·카로티노이드 같은 식물성 항산화 성분이 하나둘 밝혀지면서 “항산화 네트워크”라는 개념이 자리 잡았습니다.
한편, 1990년대 이후에는 단순히 “항산화제를 많이 먹으면 건강해진다”는 낙관론에서 벗어나, 용량·상황·개인별 차이가 중요하다는 점이 강조되기 시작했습니다. 예를 들어 베타카로틴을 과량 복용했을 때 오히려 흡연자의 폐암 위험을 높였다는 유명한 연구가 대표적입니다. 즉, 항산화는 무조건 많다고 좋은 것이 아니라, 균형 속에서 역할을 발휘하는 정교한 시스템이라는 사실이 밝혀진 것이죠.
산화 스트레스란?
산화 스트레스는 간단히 말해 활성산소의 생성과 제거 사이의 균형이 깨진 상태입니다.

Triggers of ROS 출처 : Antioxidants 2024 , 13 (4), 394; https://doi.org/10.3390/antiox13040394
- ROS의 주요 발생원: 미토콘드리아 호흡 과정, 염증 반응, 자외선·오염물질 노출.
- 문제가 되는 이유: ROS가 단백질·지질·DNA를 손상시켜 세포 기능 저하와 노화, 다양한 질환을 촉진합니다.
- 방어 체계: 우리 몸은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SOD), 카탈라아제, 글루타치온 퍼옥시다아제(GPx) 같은 효소와 비타민 C·E, 글루타치온 같은 분자로 이를 막아냅니다.
즉, 산화 스트레스는 단순히 노화의 부산물이 아니라 질환의 발병과 진행에 관여하는 중요한 병태생리적 메커니즘입니다.
일상 속 항산화의 예시
우리가 흔히 접하는 건강 습관 중 상당수가 사실은 항산화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 피부과 시술: 레이저 치료 후 비타민 C, 글루타치온 같은 항산화제를 병행하면 염증 후 색소침착(PIH)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식단: 지중해식 식단이 건강에 좋은 이유 중 하나는 올리브유의 폴리페놀, 토마토의 리코펜, 포도의 레스베라트롤 등 다양한 항산화 성분이 풍부하기 때문입니다.
- 생활습관: 충분한 수면과 규칙적인 운동은 우리 몸의 항산화 효소(SOD, 카탈라아제 등)를 활성화해 스스로 방어 능력을 키워줍니다.
왜 지금 항산화를 다시 이야기해야 할까?
항산화는 단순한 건강 트렌드가 아니라, 의학·영양·피부·항노화를 아우르는 중요한 주제로 다시 한 번 주목받고 있는데 그 배경에는 아래와 같은 이유들이 있습니다.
- 정밀의학·기능의학의 발전: TAC(총 항산화능), 8-OHdG(DNA 손상), F2-isoprostanes(지질 과산화) 같은 정량적 검사를 통해 개인별 산화 스트레스 상태를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새로운 항산화 소재 개발: 기존 비타민·미네랄 외에도 NMN, MSM, 페룰산, 아스타잔틴 같은 신소재들이 연구되고 있으며, 일부는 이미 스킨부스터·코스메슈티컬로 임상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 관련포스팅
항산화 지수란? 전문의가 알려주는 정확한 검사법과 해석::::닥터리마인드 ON
앞으로의 시리즈에서 다룰 내용
이 글은 워드프레스 항산화 시리즈의 문을 여는 소개 글이자, 전체를 묶어주는 앵커 페이지 역할을 합니다. 앞으로 이어질 글에서는 다음과 같은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룰 예정입니다.
- 산화 스트레스란 무엇인가 (ROS의 생성·제거 균형, 병태생리, 질환과의 연관성)
- 항산화의 과학적 원리와 우리 몸의 방어 체계
- 항산화 지표와 검사법, 임상에서의 활용
- 비타민·미네랄·파이토케미컬 항산화제의 특징과 임상 근거
- 글루타치온, 비타민C 주사 등 의료적 활용
- 항산화제의 한계와 오용에 대한 경고
- 생활 속 항산화 전략(식이·운동·수면·스트레스 관리)
이 시리즈를 따라가다 보면, 단순히 “항산화가 좋다더라” 수준을 넘어, 어떤 상황에서 어떤 방식으로 항산화를 적용해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장기적으로는 각각 항산화제들에 대해 심도있게 알아가고 새로운 논문이나 지견이 나오면 꾸준히 업데이트하려고 합니다.
Reference
- Liguori I, et al. Oxidative stress, aging, and diseases. Clin Interv Aging. 2018;13:757-772.
- Sies H, et al. Oxidative stress: eustress and distress in redox biology. Nat Rev Mol Cell Biol. 2017;18(6):305-321.
- Halliwell B, et al.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in human disease: fact or fiction? Br J Clin Pharmacol. 2015;75(3):603–628.
- Pizzino G, et al. Oxidative stress: harms and benefits for human health. Oxid Med Cell Longev. 2017;2017:8416763.
- Poljsak B, et al. Strategies for reducing oxidative stress in chronic diseases. Oxid Med Cell Longev. 2019;2019:9568179.
- Kurutas EB. The importance of antioxidants which play the role in cellular response against oxidative/nitrosative stress. Nutr J. 2016;15(1):71.
- Pham-Huy LA, et al. Free radicals, antioxidants in disease and health. Int J Biomed Sci. 2008;4(2):89–96.
- Valko M, et al.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in normal physiological functions and human disease. Int J Biochem Cell Biol. 2007;39(1):44-84.
작성자: 닥터리마인드 가정의학과 전문의 · MD.PhD · 기능의학 연구자 · 피부·영양·항노화 임상 10년+
의학적 고지 · 본 글은 ※ 본 글은 일반적인 의학 정보 제공 목적이며, 개인의 상태에 따라 적정 용량과 안전성은 달라집니다. 특히 약물 병용 시에는 반드시 의료 전문가와 상의하세요.
최신 의학 논문과 실제 임상 경험을 바탕으로, 환자와 독자분들이 이해하기 쉬운 근거 중심 정보를 제공합니다.

2025. 9.11 첫 글 남김